<어머니와 딸>은 강경애의 중편소설이다.
부엌 뒷대문을 활짝 열고 나오는 옥의 얼굴은 푸석푸석하니 부었다.
그는 사면으로 기웃기웃하여 호미를 찾아들고 울바자 뒤로 돌아가며 기적
거린 후 박, 호박, 강냉이 씨를 심는다. 그리고 가볍게 밟는다.
눈동이 따끈따끈하자 콧잔등에 땀이 방울방울 맺힌다. 누구인지 옆구리를
톡톡 친다. 휘끈 돌아보니 복술이가 꼬리를 치면 그에게로 달려든다. 까만
눈을 껌벅이면서……
옥은 호미를 던지고,
“복술이 왔니!”
복술의 잔등을 쓰다듬었다. 그리고 멍하니 뒷산을 올려다보았다.
강경애
강경애(1907년~1943년) 는 황해도 송화 태생이며, 1930년대를 대표하는 한국 문학가이다.
지배와 피지배 집단의 모순, 특히 착취당하는 여성에게 주목한 동반자 작가이며, 소설 속에 억압에 대한 뚜렷한 사회적 인식이 들어 있다.
1931년 『조선일보』에 단편소설 「파금(破琴)」을, 장편소설 『어머니와 딸』을 『혜성』(1931)과 『제일선』(1932)에 발표하면서 문단에 데뷔하였다. 단편소설 「부자」(1934)·「채전(菜田)」(1933)·「지하촌」(1936) 등과 장편소설 『소금』(1934)·『인간문제』(1934) 등으로 1930년대 문단에서 독보적인 위치를 확보하였다.